전문가 투자전략
글로벌 증시 동향(28/July/23)
852심우재 2023/07/28 09:03 조회수 : 170
 
글로벌 증시 동향(28/July/23)

1. 밤사이 미국 증시
- Dow 35.282.72(-0.67%), S&P500 4,537.41(-0.64%), Nasdaq 14,050.11(-0.55%)
- Russell2000 1,954.90(-1.29%)
- 필라델피아 반도체 3,768.27(+1.86%)
- VIX 14.41(+9.25%)


-미국 증시는 2분기 GDP 호조와 고용 호조에도 불구하고 일본은행의 긴축 우려에 하락마감. 다우지수가 13일째 올랐다는 점도 부담으로 작용. 미국 2분기 GDP 성장률은 +2.4%를 기록. 기대치 +2%를 크게 상회. 하지만 BOJ가 YCC 범위를 넓힐 것이라는 보도에 불확실성이 확대되며 미국 증시는 하락 마감. ECB는 기준금리를 0.25% 추가 인상. 국제유가는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며 80달러는 4개월만에 돌파 

-커뮤니케이션과 반도체를 제외하고 전섹터 하락. 부동산, 유틸리티는 급락. 빅테크 중심의 일부 기술주만 선전. 메타는 실적과 향후 전망 상향에 +4.4% 급등. 반도체주들은 일제히 랠리. 램리서치 +9%, 웨스턴디지털 +7%, AMAT +5%, 마이크론 +5%, 엔비디아 +1% 등 대다수 반도체주 강세. 인텔은 시간외거래에서 호실적 발표하며 +8% 급등 중. 포드는 호실적 발표에도 시간외거래에서 -1% 하락 중. 태양광기업 퍼스트솔라는 호실적에 시간외에서 +8%급등 중. 로쿠는 미국 광고 호조로 시간외에서 +8%급등 중 

-국내증시 약보합 출발 전망. 미국 증시가 단기 랠리를 끝내며 조정을 받았고 BOJ 불확실성이 있어 증시에 다소 부담이 될 전망 

-미국 반도체가 급등했지만 국내증시는 전일 선반영. 다만 미국 실적시즌을 종합해보면 미국 경기는 괜찮고 광고에 영향받는 빅테크들의 실적도 좋은 모습. 그에 따라 신사업인 AI에 적극적인 모습 

-이는 국내 반도체 기업들의 밸류에이션 상승요인. 또한 삼성전자 파운드리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소재,부품,장비 및 IP, 디자인하우스 생태계가 국내 기업들 중심으로 잘갖춰줘야함. 한국은 제조는 최강이나 생태계가 다소 약함 

-따라서 국산화 흐름은 대세가 될 것이라 판단. 반도체 생태계를 계속 공부하고 경쟁력있는 기업들을 장기투자해야 하는 이유 

-2차전지로 인한 증시 왜곡현상은 몇일 더 이어지겠지만 다음주 후반부터는 안정화 전망. 변동성 확대는 기회

2. S&P500 섹터별 등락
- Basic Materials -1.43%
- Communication Services +0.34%
- Consumer Cyclical -0.96%
- Consumer Defensive -0.80%
- Energy -1.15%
- Financial -1.09%
- Healthcare -0.84%
- Industrials -0.87%
- Real Estate -2.15%
- Technology -0.35%
- Utilities -1.81%

3. Key indices 
- WTI $80.09(+1.7%)
- 금 선물 $1,946.30(-1.21%)
- EUR/USD 1.0981(-0.99%) 
- 10-Yr Bond 4.0120(+4.18%)
- US Dollar Index 101.76(+0.86%)
※ 게시판의 속성과 맞지 않는 글은 별도 고지 없이 삭제 될 수 있습니다.
  • 고객센터
    02-2174-6462
    평일 08:30 ~ 15:30
    토,일요일 공휴일 휴무
  • 입금안내 국민은행 827-25-0014-174 (주)씽크풀
    입금후 전화주세요
  • 전문가모집
  • 모바일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