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국제금융 주요 이슈 및 전망
미국 7월 고용지표 및 제조업?서비스업지수 발표
8.4일 미국 7월 고용지표 발표. 비농업고용자 증가가 지난 5월 33.9만명에서 6월 20.9만명으로 비교적 큰 폭 감소한 이후 금번 수치에 관심. 컨센서스는 18.4만명으로 추가 감소 예상하나 이를 벗어나 증가할 가능성도 존재. 실업률은 지난 5월 3.7%에서 6월 3.6%로 반락 후 금번 향방에 주목
8.1일 미국 7월 ISM 제조업 PMI 발표. 지난 4월 47.1로 그간 하락세에서 소폭 반등했으나 5월 46.9, 6월 46.0으로 재차 하락 후 금번 향방에 관심. 컨센서스는 소폭 반등 예상. 8.3일에는 7월 ISM 서비스업 PMI 발표. 지난 3~5월 50대 초반으로 하락후 6월 들어 53.9로 비교적 큰 폭 반등한 바 있어 금번 추가 상승 여부에 관심
8.3일 발표되는 미국 주간 실업수당청구건수도 관심. 지난주 청구건수는 22.1만명으로 5월 이후 최저 규모로 감소해 여전히 타이트한 노동시장을 시사한 바 있음
유로존 2Q GDP의 반등 여부 및 7월 근원 CPI의 향방에 주목
7.31일 유로존 2분기 경제성장률 예비치 발표. 금년 1분기 확정치가 0.0%로 소폭 상향되어 2개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피한 가운데 금번에는 0.1% 내외로 소폭 반등할 가능성
7.31일 유로존 7월 CPI(HICP) 예비치 발표. 헤드라인 지수는 지난 6월 5.5%(yoy)로 하락 후 금번에도 추가 하락 예상. 다만 근원지수(에너지/식품/주류/담배 제외)는 5월 5.3%에서 6월 5.4%로 반등한 가운데 금번에도 추가 상승할지 관심
중국 7월 PMI 발표. 하반기 첫 달에도 최근의 성장 약화를 반영할지 관심
7.31일 중국 7월 국가통계국 제조업 PMI 발표. 지난 6월 49로 소폭 반등했지만 기준선인 50을 3개월 연속 하회하고 있어 금번 수치에 관심. 8.1일 중국 7월 차이신 제조업 PMI 발표. 지난 5월 50.9 에서 6월 50.5로 재차 하락한 이후 금번에도 추가 하락 가능성. 8.3일 발표될 7월 서비스업 PMI는 6월 53.9로 하락 후 향방에 관심
미국 대형종목 2분기 실적 발표 지속. OPEC+ 장관급회의 개최
8.3일 Apple, Amazon 등 미국 주요 기업의 2분기 실적 발표 예정. 최근 미국 기업들의 실적이 당초 우려보다 양호하게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금번 실적에 관심
8.4일 OPEC+ 장관급 모니터링 위원회 회의(JMMC)가 화상 형태로 개최. 산유량 정책을 결정하는 공식 회의는 11월 예정이나 최근 원유시장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회동
※ 게시판의 속성과 맞지 않는 글은 별도 고지 없이 삭제 될 수 있습니다.